본문 바로가기
경제 용어사전

<경제 용어사전> 'SPAC' 쉽게 이해하기!!

by Jin Carry 2025. 2.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SPAC(스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품에 대한 사양이나 설명서를 뜻하는 스펙(specification)이 아닙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업 인수목적회사(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약어로 기업 인수를 특별한 목적으로 삼는 회사입니다.

 

이렇게 SPAC은 다른 기업을 인수하는 동시에 그 기업과 합병하도록 설계된 특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인수한 기업이 곧바로 SPAC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합병이 완료될 때까지 SPAC은 경영진과 자본금으로만 구성된 페이퍼컴퍼니(서류로만 존재하는 회사)일 뿐입니다.

 

SPAC의 진행과정을 보면, 먼저 비상장회사를 설립하는 것으로 시작해 주식시장에서 기업공개(IPO)를 통해 일반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합니다. 이후 성장 가능성이 높아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우량 비상장 기업을 인수 대상으로 삼은 후, 주주들이 주주총회에서 인수 여부를 결정합니다. 그리고 합병이 성사된 후 SPAC의 주가가 오르면 투자자들은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게 됩니다.

 

자본금이 1000억 원 이상인 증권회사가 발기인으로 참여해야 하고, SPAC이 상장된 후 기업 인수에 이르기까지 3년의 제한을 두며 이 기간 내에 다른 기업을 인수하지 못하면 자동으로 청산절차를 밟게 됩니다!

 

그렇다면 기업을 합치는 방법 중 M&A와 SPAC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가장 큰 차이는 M&A는 근본적으로 기업을 합쳐서(기업결합) 시장점유율을 늘리거나 사업 다각화, 경영효율화 등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데 있는 반면, SPAC의 경우는 기업 인수에 필요한 자금을 다수의 개인투자자로부터 공개적으로 모집합니다.

 

대표적인 SPAC의 성공사례로 2014년 애니팡을 만든 게임회사 '선데이토즈' 와 '하나그린 스펙'의 합병입니다. 두 기업의 합병 성공은 공모가와 비교했을 때 약 500%에 가까운 수익률을 보여줬습니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SPAC'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