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용어 사전>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 금융권'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금융권의 순위 제1,2,3 금융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금융권 일반 시중은행을 비롯해, 지방은행, 특수 은행, 인터넷전문은행, 외국계 은행 등이 포함됩니다. 시중은행 - KB국민,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등 지방은행 - 대구은행, 전북은행 등 특수은행 - 산업은행, IBK기업은행, 농협, 수협 등인터넷전문은행 - 카카오뱅크, K뱅크 등 외국계은행 - SC제일은행, 씨티은행 등 제1 금융권은 규제가 엄격한 만큼 대출금리는 낮고 안정성은 높은 게 특징입니다. 그만큼 대출받는 조건이 다른 금융권보다 까다롭습니다. 그리고 예금의 경우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금융사별로 1인당 5천만 원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2025년 1월 기준 신규취급액,일반신용대출,대출금리 및 예대금리차2금융권은행이 아닌..
2025. 2. 8.
<경제 용어 사전> 주택의 종류 '단독주택(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 공관)', '공동주택(아파트, 오피스텔, 다세대주택, 연립주택, 기숙사)'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부동산 주택의 종류! 단독주택, 공동주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단독주택 한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독립된 주거생활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으로 단독주택, 다중주택, 다가구주택,공관으로 나뉜다.「건축법」에 따른 단독주택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단, 「주택법」에 따른 단독주택에는 공관이 제외된다.> 1. 단독주택 - 건축법상 면적 제한이 없고, 단일가구를 위해 단독택지 위에 건축하는 형태로, 개인의 취향에 맞게 건축할 수 있는 주택. 2. 다중주택 - 주방과 화장실을 다른 사람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원룸이나 고시원이 이에 속함. 약간의 불편함을 감수할 수 있다면 주거비용을 아낄 수 있는 주택.가. 학생 또는 직장인 등 다수인이 장기간 거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나. 독립된 주거..
2025. 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