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4

<경제 용어 사전> 부동산 '재건축vs리모델링'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부동산제도 중 재건축과 리모델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재건축 사전적 정의 - 재건축은 기존의 낡은 아파트나 연립주택지구를 허물고 다시 짓는 것으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근거한 것이다. 즉, 이는 정비기반시설은 양호하나 노후·불량건축물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이 밀집한 지역에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이뤄지는 사업이다. 재건축의 대상은 기본적으로 노후·불량주택으로서 공동주택을 원칙으로 하나 예외적으로 단독주택도 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노후·불량건축물'이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을 말한다.1. 건축물이 훼손되거나 일부가 멸실되어 붕괴, 그 밖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는 건축물2. 내진성능이 확보되지 아니한 건축물 중 중대한 기능적 결함 또는 부실 설계·시공으로 구조.. 2025. 2. 6.
<경제 용어 사전> 부동산 '청약가점제&분양가상한제'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부동산제도 중 청약가점제, 분양가상한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청약가점제무주택기간점수부양가족수점수청약통장 가입기간점수30세 미만 미혼 무주택자00명(가입자 본인)56개월 미만1 1년 미만(무주택자에 한함) 21명106개월 이상 ~ 1년 미만2 1년 이상 ~ 2년 미만 4 2명151년 이상 ~ 2년 미만3 2년 이상 ~ 3년 미만 6 3명202년 이상 ~ 3년 미만4 3년 이상 ~ 4년 미만 8 4명253년 이상 ~ 4년 미만5 4년 이상 ~ 5년 미만 10 5명30 4년 이상 ~ 5년 미만 6 5년 이상 ~ 6년 미만 12 6명 이상355년 이상 ~ 6년 미만7 6년 이상 ~ 7년 미만 14 6년 이상 ~ 7년 미만 8 7년 이상 ~ 8년 미만 16 7년 이상 ~ 8년 미만9 .. 2025. 2. 6.
<경제 용어 사전> 경매의 종류 '공매, 법원 경매, 강제경매, 임의경매'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부동산 경매의 종류! 공매, 법원 경매, 강제경매, 임의경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공매 사전적 정의 : 공매는 국제 징수 법에 의한 압류 재산을 환가하거나 형사소송법에 있어서 압수물 중 보관하기 곤란한 물건을 매각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국가기관이 강제 권한을 가지고 행하는 매매를 말한다. 경매는 민사집행법을 근거로 일반 사적인 채무관계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고, 공매는 국세징수법을 근거로 공적인 관계 채무관계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부동산이나 동산의 매각을 통해 서로의 관계를 풀고자 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국세나 지방세 체납 시 압류 재산을 강제적으로 환가처분하는 방식.인터넷 사이트 온비드, 또는 스마트폰 앱 스마트 온비드에서 전자입찰 방식으로 진행. 법원경매사전적 정의 : 채권자의 .. 2025. 2. 6.
<경제 용어 사전> 주택 담보대출 시리즈 'LTV, DSR, DTI' 쉽게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부동산 정책과 함께 주택 담보대출 이야기가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주택 담보대출 시리즈 LTV, DSR, DT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LTV(Loan To Value ratio) LTV - ' loan to value ratio'의 약어로,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릴 때 인정되는 자산 가치의 비율이다. 만약, 주택담보대출비율이 60%이고, 3억짜리 주택을 담보로 돈을 빌리고자 한다면 빌릴 수 있는 최대 금액은 1억 8천만 원(3억×0.6)이 된다.DSR(Debt Service Ratio) DSR - ' Debt Service Ratio'의 약어로, 개인이 받은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을 연 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대출에는 주택 담보대출, 신용대출, 카드론 등 모.. 2025. 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