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용어사전

<경제 용어사전> 미국 대표 지수 2편 '다우지수, 러셀' 쉽게 이해하기!!

by Jin Carry 2025. 2. 3.
반응형

 

안녕하세요. 저번에 미국의 대표 지수 1편으로 S&P 500, 나스닥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이번에는 2편으로 다우지수, 러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S&P 500, 나스닥이란?? (https://jincarry.tistory.com/entry/%EA%B2%BD%EC%A0%9C-%EC%9A%A9%EC%96%B4%EC%82%AC%EC%A0%84-%EB%AF%B8%EA%B5%AD-%EB%8C%80%ED%91%9C%EC%A7%80%EC%88%98-1%ED%8E%B8-SP500-%EB%82%98%EC%8A%A4%EB%8B%A5-%EC%89%BD%EA%B2%8C-%EC%9D%B4%ED%95%B4%ED%95%98%EA%B8%B0)

다우지수 정의 - '다우 존스(Dow Jones) 주가지수'의 준말입니다. 우리나라 코스피 지수가 시가총액을 토대로 산출되는 것과 달리, NYSE(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의 주가 추이를 바탕으로 산출됩니다. 비교적 거래가 활발하고 주가 동향을 잘 반영하는 몇몇 우량종목을 대표로 골라, 이들 종목의 시세를 평균 내서 기준시점과 비교시점 주가를 비교하는 방식입니다. 기준시점은 1896년 5월 26일입니다. 다우 존스 공업평균 지수, 운송 평균 지수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대표성을 갖는 것은 '다우 존스 공업평균 지수(DJIA)입니다. 다른 말로 '다우 존스 30산업 평균 지수'라고도 합니다.
 
2025. 02. 03 다우존스 월봉 차트

S&P 500이나 나스닥 종목에 겹치는 종목이 많습니다. 하지만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사용하는 S&P 500지수와 달리 주가 수익률의 산술평균을 사용하기 때문에 미국의 증시 흐름을 이야기할 때는 다우지수를 보통 많이 사용합니다.

러셀지수 정의 - 1984년 미국의 투자사인 러셀 인베스트먼트사가 창안한 지수로, 시가총액 등 객관적인 수치로 편입종목을 결정한다. 이는 다우 존스와 S&P 500 등과 같이 시장의 흐름을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되는데, 주로 중소형주의 주가 움직임을 파악할 때 많이 사용된다.

2025. 02. 03 러셀 2000 월봉 차트

 

러셀지수는 미국 1만여 개 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을 계산하여 세 가지로 분류한다.

▷상위 3,000개 대기업을 포함하는 러셀 3000지수

▷다음의 2,000개 중소기업을 포함하는 러셀 2000지수

▷중소기업의 주가 변동을 표시하는 러셀 1000지수

이 중에서 중소기업의 시장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러셀 2000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다우지수, 러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