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용어사전

<경제 용어 사전>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 금융권' 쉽게 이해하기!!

by Jin Carry 2025. 2. 8.
반응형

안녕하세요. 금융권의 순위 제1,2,3 금융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금융권

 

 

 

일반 시중은행을 비롯해, 지방은행, 특수 은행, 인터넷전문은행, 외국계 은행 등이 포함됩니다.

시중은행 - KB국민,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등

지방은행 - 대구은행, 전북은행 등

특수은행 - 산업은행, IBK기업은행, 농협, 수협 등

인터넷전문은행 - 카카오뱅크, K뱅크 등

외국계은행 - SC제일은행, 씨티은행 등

 

제1 금융권은 규제가 엄격한 만큼 대출금리는 낮고 안정성은 높은 게 특징입니다. 그만큼 대출받는 조건이 다른 금융권보다 까다롭습니다. 그리고 예금의 경우 예금자보호법에 의해 금융사별로 1인당 5천만 원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은행연합회

*2025년 1월 기준 신규취급액,일반신용대출,대출금리 및 예대금리차

2금융권

은행이 아닌 다양한 금융기관들을 포괄하는 말로, 1970년대부터 당시 광범위했던 사금융 시장을 제도권 안으로 포함하고, 나아가 경제 발전에 필요한 자금 수요의 다양화를 꾀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중앙은행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

경제학에서는 1금융권을 통화기관이라고 칭하는 데 비해 2금융권은 비통화금융기관이라 칭한다. 통화기관인지 비통화기관인지는 요구불예금 비중에 따라 구분하는데 2금융권 우체국이나 저축은행, 상호기관의 경우 요구불예금보다는 저축성예금의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은행 중 한국산업은행과 한국수출입은행은 은행이지만 정책금융기관으로 통화창출능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비통화금융기관으로 분류한다.

 

은행을 제외한 나머지로 보험회사, 신탁회사, 증권회사, 종합금융회사, 여신금융회사(카드회사, 캐피탈 등), 상호저축은행 등을 말합니다. 제2 금융권이라는 말은 은행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 부족한 금융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3금융권

 

제1 금융권, 제2 금융권을 제외한 금융기관을 말하며, 은행이나 보험회사 등에서 대출받기 힘든 사람들을 위해 생겨난 금융권으로 대부 업체가 대표적입니다. 사채라고 불리기도 하며, 고이자로 대출해 주지만 조건이 까다롭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과거 제3 금융권을 이용하면 신용등급이 크게 떨어진다는 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부터 개인 신용평가가 등급이 아닌 점수로 전환돼 이용하는 대출금리에 따라 신용이 달라지게 되면서, 제3 금융권을 이용하더라도 연 금리를 몇%로 대출받았는지에 따라 신용점수가 깎이는 방식이 되었습니다.

 

 

분류 포함 예시 특징
제1 금융권 KB국민은행, KDB산업은행, DGB대구은행, 씨티뱅크, 카카오뱅크 규제가 엄격한만큼 대출금리가 낮고 예금자보호법에 보호받음
제2 금융권 키움증권, 신협, 삼성화재, MG새마을금고, DB손해보험 증권회사, 보험회사, 저축은행 등 제1금융권의 부족 수요를 보충
제3 금융권 대부 업체(사채업체) 규제가 까다롭지 않게 고금리 대출을 해주며 신용점수에 영향이 큼

 

 

여기까지 간단하게 ​​ '제1금융권, 제2금융권, 제3금융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