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OA 사전적 정의 : Return On Assets. 총자산순이익률
ROA는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이다.
기업의 일정기간 순이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로, 특정기업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낸다. 금융기관에 있어서는 특정 금융기관이 총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했느냐를 나타내는 지표를 말하며, 금융기관이 보유자산을 대출, 유가증권 등에 운용해 실질적으로 얼마만큼의 순익을 창출했는지를 가리킨다.
[네이버 지식백과] ROA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ROE 사전적 정의 : Return On Equity. 자기자본이익률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 100'의 공식으로 산출된다. 이는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한다. 만약 ROE가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주며, ROE가 2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때 2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다.
[네이버 지식백과] ROE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쉽게말해,
ROA = 자기 돈과 빌린 돈을 모두 이용해서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ROE = 자기자본을 이용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입니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예를들면,
A라는 기업이 연초에 자기돈 100원과 은행에서 빌린돈 100원을 합친 200원을 투자했는데 연말에 50원을 벌었다면
ROA의 경우 50 / 200 x 100 = 25%
ROE의 경우 50 / 100 x 100 = 50%
이렇게 됩니다.
기업의 ROA,ROE가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영업활동을 효율적으로 하고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그 중에서도 ROE는 주식투자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보는 중요 지표입니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ROA,ROE'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사전>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0) | 2025.02.01 |
---|---|
<경제 용어사전> '공매도' 쉽게 이해하기!! (2) | 2025.01.31 |
<경제 용어사전> '공모주, 공모주 청약' 쉽게 이해하기!! (1) | 2025.01.31 |
<경제 용어사전> 'PER, PBR, EV/EBITDA' 쉽게 이해하기!! (0) | 2025.01.31 |
<경제 용어사전> '금리' 쉽게 이해하기!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