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치평가에 많이 쓰이는 PER,PBR,EV/EBITDA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ER 사전적 정의 : Price Earning Ratio, 주가수익비율
PER는 주가를 주당 순이익(EPS)으로 나눈 수치로 계산되며 주가가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 기업의 주가가 6만 6000원이고 EPS가 1만 2000원이라면 A사의 PER는 5.5가 된다. PER가 높다는 것은 주당 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PER가 낮다는 것은 주당 순이익에 비해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PER가 낮은 주식은 앞으로 주식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네이버 지식백과] PER [Price-Earning Ratio] (매일경제, 매경닷컴)
PBR 사전적 정의 : Price Book-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BPS, book value per share)로 나눈 비율로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이다. 즉 주가가 순자산(자본금과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의 합계)에 비해 1주당 몇 배로 거래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PBR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EV/EBITDA 사전적 정의 : Enterprise Value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 현금흐름 배수
기업의 시장가치(EV · Enterprise Value)를 세전영업이익(EBITDA · 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의 적정 주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즉, 기업가치(EV)를, 세금과 이자를 내지 않고 감가상각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이익(EBITDA)으로 나눈 수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EV/EBITDA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간단하게 위 표처럼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여기서 조금 더 나아가면 주당 가격이 같은 회사 둘이 있을 때 주당 순이익이 높으면 PER이 낮아지므로, PER이 낮으면 저평가 되었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주당 가격이 같을 때 주당순자산가치가 높으면 PBR이 낮아지게 되고 이를 저평가 되었다고 합니다.
결과적으로 같은 주식가격을 가졌다면 PER, PBR이 낮은 기업이 저평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EV / EBITDA는 시장가치(EV)를 세전 영업이익(EBITDA)로 나눈 값으로 '현금흐름 배수'입니다. 이는 기업의 가치라 할 수 있는 현금을 창출해 낼 수 있는 능력이 시가총액에 비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PER, PBR과 마찬가지로 낮을수록 저평가돼 있다고 보면 됩니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PER, PBR, EV/EBITDA'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 용어사전> '인플레이션, 디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 쉽게 이해하기!! (0) | 2025.02.01 |
---|---|
<경제 용어사전> '공매도' 쉽게 이해하기!! (2) | 2025.01.31 |
<경제 용어사전> '공모주, 공모주 청약' 쉽게 이해하기!! (1) | 2025.01.31 |
<경제 용어사전> 'ROA,ROE' 쉽게 이해하기!! (1) | 2025.01.29 |
<경제 용어사전> '금리' 쉽게 이해하기! (0)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