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용어사전

<경제 용어사전>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쉽게 이해하기!!

by Jin Carry 2025. 2. 2.
반응형

오늘은 주식시장에서 과열을 막기위한 대책

'사이드카','서킷브레이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출처 : 톡톡매거진

사전적 정의

사이드카(sidecar)란??? - 증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요소로, 선물시장의 급등락에 따른 현물시장의 혼란을 막을 때에 발동된다. 사이드카가 발동되면 주식시장의 매매 호가 효력이 5분간 정지된다. 발동 요건은 가장 많이 거래되는 선물 상품 가격이 (코스피) 전일 종가에 대비해 5% 이상 등락과가 1분 이상 계속될 때와 (코스닥) 전일 종가 대비 6% 이상 등락과가 1분 이상 지속될 때다.

발동 5분 후, "사이드카"는 자동 해제된다. 현물시장의 안정을 위한 중요한 요소인 만큼 "사이드카"는 1일 1회에 한해서만 발동이 가능하며, 주식시장 매매 종료 40분 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다.

 

쉽게 말해, 선물 가격이 전날 종가에 비해 5%(유가증권시장), 6%(코스닥시장) 이상 등락한 채 1분 이상 계속될 때 매매 호가 행위는 5분간 정지하는 것입니다. 이후 5분이 지나면 자동 해제돼 정상적으로 매매가 가능합니다.

출처 :서울경제

 

그렇다면 사이드카는 왜 생겨난 걸까요??

바로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하게 되면 투매(投賣)에 가담하게 되거나 미래의 차익을 기대해 마구 사들이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이 같은 움직임이 자칫 자신은 물론 다른 투자자들에게도 피해를 끼치기 때문에 시장에 개입하게 되는 겁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한국거래소(KRX) 유가증권시장 본부, 코스닥시장에서는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본부가 개입해 과열된 시장을 잠시 식힐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출처 : 한국 금융

 

+추가로 국립국어원은 '사이드카' 대신 '주가 급락(주의) 경보 또는 호가 일시정지'로 쓸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출처 : YTN뉴스

사전적 정의

서킷브레이커(circuit breaker)란?? - 트레이딩 커브(trading curb)의 일종인 주식 용어이다. 트레이딩 커브(trading curb)는 주식시장에서 가격이 급격히 떨어지는 경우에 반응하여,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매매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국내 기준 1단계에서는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 이상 하락해 1분 이상 지속되면 모든 주식 거래를 20분간 중단한 후, 10분간 새로 호가를 접수해 단일 가격으로 처리한다. 2단계15% 하락, 3단계20% 하락 시에도 동일하게 진행한다. 그리고 3단계 20% 이상 하락이 1분간 지속되면 당일 시장은 그 즉시 종료된다.

 

쉽게 말해, 종합 주가지수(코스피, 코스닥)가 전일에 비해 단계별로 8%, 15%, 20% 이상 하락해 1분 이상 지속되면 거래를 잠시 중단한 후 재개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추가로 20% 이상 하락이 1분간 지속되면 당일 시장이 종료되는 겁니다.

출처 : YTN뉴스

 

구분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
발동요건 <선물가격 전일 종가 대비>
- 코스피 200 선물 = +- 5%
- 코스닥 150 선물 = +- 6%
1분간 지속될 때
<코스피, 코스닥 종합주가지수 전일대비>
- 1단계 = 8% 이상 하락한 경우
- 2단계 = 15% 이상 하락한 경우
- 3단계 = 20% 이상 하락한 경우
거래 중단 시간 프로그램 매매 5분간 정지 1, 2단계 = 20분간 모든 주식거래 중단
3단계 = 모든 주식 거래 종료
거래 재개 5분 후 자동 해제 1, 2단계 = 10분간 단일가 매매로 재개
3단계 = 장 종료
발동 가능 기간 오후 2시 50분까지 발동 가능 1, 2단계 = 오후 2시 50분까지 발동 가능
3단계 = 장 종료 전까지 발동 가능

 

 

사이드카와 서킷브레이커의 차이를 간단하게 비교하면 이렇게 됩니다!

 

여기까지 간단하게 '사이드카, 서킷브레이커'를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